한민규 기자 | 대형 아파트단지들이 즐비한 평택 남부 신도시를 명품 교육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공약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달 15일부터 27일까지 동삭동 영신·서재지구, 용이동, 비전2동 용죽·소사지구에서 간담회 등을 통해 주민 의견을 수렴한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평택시병 국회의원 후보는 8일 “교육‧문화시설을 확충하고 교통 여건을 개선해서 평택 남부 신도시를 명품 교육도시로 가꾸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평택 남부지역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교육 기반시설 확충 ▲통학권 보장 ▲광역버스 노선 조정 ▲버스 정류장 신설 ▲복합문화시설 건립 등 정주여건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동삭동 서재초등학교, 용죽지구 용죽초등학교, 평택중학교 등은 과밀학급을 해결해 달라는 민원을 낳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학교 신설 요건이 까다로운데다 학령인구가 감소세를 보이면 학교를 무작정 늘릴 수 없는 노릇”이라며, “일부 지역에선 재건축 조합이 기부채납으로 확보한 학교용지를 이용해 '제2캠퍼스'를 건립하거나, 인근 오피스텔이나 상가를 사들여 분교를 설치하는 '매입형 학교' 등이 대안으로 등장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서재지구에 있는 초등학교 부지의 경우 교
한민규 기자 | 김현정 후보(더불어민주당, 평택시병)는 평택 남부지역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교육 기반시설 확충 ▲통학권 보장 ▲광역버스 노선 조정 ▲버스 정류장 신설 ▲공영주차장 건립 ▲복합문화시설 건립 등 정주여건 개선을 요청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삭동 서재초등학교, 용이동 용죽초등학교, 그리고 용죽지구 평택중학교는 과밀학급을 해결해 달라는 민원을 유발하고 있다. 김 후보는 “학교 신설 요건이 까다로운 데다 학령인구 감소 추세로 일선에서는 학교를 무작정 늘릴 수도 없기 때문에 최근 학교 신설과 폐교라는 두 가지 금기를 피해가는 방법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재건축 조합이 기부채납으로 확보한 학교용지를 이용한 '제2캠퍼스', 인근 오피스텔이나 상가를 사들여 분교를 설치하는 '매입형 학교' 등이 대안으로 등장했다”고 전했다. 그는 “서재지구에 있는 초등학교 부지의 경우 교육당국이 학교 설립을 허가하지 않아서 부지 활용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주민들로부터 초등학교가 어려우면 고등학교를 지어달라는 요구가 나왔다”며 “과학고, 특성화고 유치와 관련해 동삭동이 적지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만큼 부지 활용을 다각도로 검토하겠다”고 얘기했다. 김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