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규 기자 | 화성시연구원이 ‘화성이슈리포트’ 제21호를 발간했다. 이번 호에서는 ‘AI특례시 화성, 데이터센터 유치와 대응’을 제1주제로, AI특례시 실현을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서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화성시 여건에 부합하는 선제적 대응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화성특례시의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한 과제로는 ▲도심 내 엣지 데이터센터 공급 유도, ▲주민 민원이 적은 지역으로의 입지 선정, ▲재생에너지 출력 변동성 최소화를 위한 노력, ▲데이터센터 TF 운영을 통한 화성시 유치 활동 등을 제시했다. 제2주제에서는 ‘화성특례시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다뤘다. 연구원은 새 정부의 에너지 및 탄소중립 주요 공약을 바탕으로 화성시의 신재생에너지 현황을 분석하고, 새 정부 정책 대응을 위한 화성특례시 신재생에너지 정책 방향으로 ▲화성 중심 분산형 에너지원 다변화 및 가상발전소(VPP) 생태계 구축, ▲화성형 에너지 공동체 자립마을 시범사업 추진, ▲배출권거래제 체계 고도화 및 민간 탄소시장 참여 확대, ▲시민 이익공유형 신재생에너지 모델 개발 및 운영 등을 제안했다. 또한 이번 호에서는 국내·외 우수 정책 사례로 전국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양방
한민규 기자 | 화성시연구원(원장 박철수)은 24년 3월‘화성이슈리포트 제7호’를 발간했다. 화성이슈리포트 7호에서는 화성시 신재생에너지의 현주소와 과제를 제시했다. 2022년 기준 화성시 신재생에너지 보급 용량은 전국 대비 1.1%, 경기도 대비 13.3%를 차지하고 있고, 특히 2021년 화성시의 최종 에너지소비 대비 신재생에너지 소비는 1.32%의 비율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화성시 신재생에너지의 정책과제로 ▲화성시 탄소중립형 RE100 기업·산업단지 전환사업 확대, ▲화성지역 분산형 전력거래 기반 가상발전소(VPP) 도입·운영, ▲화성시 특화형 수소도시 인프라 구축, ▲화성시민 주도형 재생에너지 공동체 사업추진, ▲화성형 재생에너지 협력 거버넌스 구성·운영을 제시했다. 이에 따른 기대효과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 기여 및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증대, 화성시 전력 자립도 향상 및 관련 산업 생태계 강화, 수소에너지 활용 기술 분야 선도도시 기반 마련 등을 꼽았다. 또한 연구원은 화성시 교육국제화특구의 허와 실에 대해 시사했다. 교육국제화특구 3기로 신규 지정된 화성시는 시 전역(844㎢)이 특구 추진 지역에 해당한다고 말하며 화성시 교육국제화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