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온경기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오늘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 기념사에서 3대 ‘평화경제전략’을 제시했다.
김동연 지사는 “김대중 정부가 재탄생의 계획을 세우고, 노무현 정부가 터를 닦은 이곳 캠프그리브스에서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로 평화의 바통이 건네졌다”면서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가 열어갈 한반도 평화 번영의 길을 경기도가 가장 굳건히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장 추진할 수 있는 ‘평화경제 전략’ 3가지를 경기도지사로서 제안한다”고 했다.
3대 전략의 첫째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이다.
김 지사는 “문재인 정부의 ‘DMZ 내 솔라파크’ 조성 방안과 얼마 전,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가 중앙정부에 건의한 ‘DMZ 평화에너지벨트 구축’ 방안의 연장”이라면서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지사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로 반도체·AI 등 첨단산업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접경지와 경기 북부 도민들에게 그 이익을 공유할 것”이라며 “경기도가 이런 방안과 제안을 앞장서 적극 추진하겠다”고 다짐했다.
둘째는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 기후테크 클러스터 구축이다.
김 지사는 “앞으로 지정될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에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유망기업을 육성하겠다”면서 “경기북부를 대한민국 기후경제의 선도지역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셋째가 최근 김 지사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이다.
김 지사는 “우리가 있는 ‘평화의 플랫폼’ 캠프그리브스는 반세기 동안, 미 2사단 506연대가 주둔하던 곳이었다”면서 “경기도에는 이곳처럼 개발 가능한 반환공여지 스물두 곳이 있다”고 소개했다.
그런뒤 “이재명 정부의 출범과 함께 반환공여지 개발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면서 “경기도가 세운 ‘주도성’, ‘전향성’, ‘지역 중심’의 3대 원칙에 따라 할 수 있는 일부터 힘차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기도가 앞장서 재정을 투입하여 교통인프라를 확충하고, 규제 완화에 힘쓰겠다”고도 했다.
김 지사는 ‘9.19 평양공동선언’이야말로 “남북 교류 협력을 촉진하는 가장 구체적인 ‘경제 선언’”이며, “‘9.19 군사합의’는 군사 충돌을 방지하는 가장 실질적인 ‘평화 선언’”이라고 평가했다. 그런 뒤 “‘9.19 선언’을 이정표 삼아, ‘평화경제’의 길을 열어가자. ‘긴장의 땅’을 ‘성장의 땅’으로 만들어가자”고 제안했다.
오늘 김 지사는 “만감이 교차한다”면서 달라진 9.19 기념식을 맞이한 특별한 소회도 밝혔다
“지난 3년간은 윤석열정부에 맞서 (중앙정부와의 소통없이) 기념행사를 주관해 왔으나 올해는 드디어 정부와 함께하는 첫 행사를 열게 됐다. 정권교체를 실감한다”면서이다. 오늘 행사는 경기도와 통일부,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포럼 사의재·노무현재단·한반도평화포럼·김대중재단)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이 후원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김정숙 여사와 함께 참석해 기념사를 했다.
문 전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피스메이커가 되어 달라고 요청했고, 자신은 그 길을 함께 열어가는 페이스메이커가 되고 싶다고 했다”면서 “연내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사표시와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에 대한 공감대를 함께 이끌어낸 탁월한 제안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정은 위원장을 연내에 만나고 싶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대화 의지를 환영하며 빠른 시일 내에 성사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결단이 지금 이 시기에도 한반도 평화의 열쇠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용기 있는 결단을 다시 한번 보여주길 기대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나는 오늘 평화를 염원하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남, 북, 미 정상들의 평화를 위한 역사적 결단을 간절히 바라고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기념식에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문희상 전 국회의장, 정청래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의원 20여 명,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정동영 통일부장관과 정세현-이재정-김연철 전 통일부장관 등 역대정부의 통일정책 수장이 한 자리에 모여 김동연 지사와 함께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특별토론을 했다.
민간인통제선 내 캠프그리브스는 과거(1953년 정전협정~2007년) 반세기 넘게 주한미군의 최전방 군사기지로 사용됐던, 분단과 대결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2007년 한국 정부로 반환되고, 2022년 경기도로 소유권이 이전되면서 현재는 평화와 생태 공간으로 거듭나 있다.
이런 상징적인 곳에서 정부와 경기도가 손잡고 9.19 기념행사를 마련한 것 자체가 지난 정권에선 꿈조차 꿀 수 없던 일이다. 김동연 지사는 “우리 국민주권정부에선 경기가 마중물 역할을 더 확실하게 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