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규 기자 | 지난 4월 24일 화성행궁에서 우화관(于華觀)과 별주(別廚)가 복원되어 개관식을 가졌다. 우화관은 화성유수부의 객사였으며, 별주는 국왕 행차시 필요한 음식을 준비하고 관련된 문서를 보관하는 장소이다. 이로서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훼손되고 파괴되었던 수원 화성행궁이 완전한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화성행궁은 조선 22대 국왕인 정조가 1789년(정조 13년) 10월 아버지 장조(사도세자)의 묘를 수원부 읍치 자리(현재 화성시 화산동)로 이장하고 신읍치를 팔달산 아래로 옯기면서 건립되었다. 화성행궁은 평상시에는 관청으로 쓰이다가 국왕이 행차하는 특별한 날이면 궁실로 이용되었다. <조선후기 개혁정치와 왕권강화로 조선의 부흥을 이끈 왕, 정조> 정조는 할아버지 영조와 더불어 조선후기 개혁정치와 왕권강화로 조선의 부흥을 이끈 왕이다. 장용영을 두어 왕권을 강화했고, 규장각을 설치하여 인재를 양성했다. 실학자와 서얼 출신의 학자들도 채용되었는데 주요 인물은 박제가, 유득공, 이덕무 그리고 서이수 같은 사람들이다. 또한 초계문신 제도를 두어 젊은 인재를 발탁했다. 이렇게 발탁된 대표적인 초계문신이 정약용, 정약전 형제와 채제공의 아들 채홍원 등
한민규 기자 | 410 총선 수원정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김준혁 후보가 과거 방송에서 한 발언으로 막말 논쟁에 휩쌓였다. 김 후보는 2017년 김용민씨가 진행하는 유튜브채널 <국민TV>에 출연해 수원 화성이 여성의 가슴이라고 비유했다. 논란이 일자 김 후보는 입장문을 내고 "“수원화성은 여성 젖가슴”이라고 쓰고 마치 후보자가 직접 여성 신체에 수원 화성을 비유한 것처럼 적었습니다. 후보자가 비유한 장소는 사도세자 묘소인 ‘융릉’이므로, 오류가 있는 제목입니다"라며 '여성의 젖가슴'이라는 표현은 수원 화성이 아니라 사도세자의 묘소인 '융릉'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해당 위치가 지리적으로 <사람들에게 젖을 주는 자리다>라고 덧붙"이고. "이와 같은 비유는 “한강은 서울의 젖줄”이라는 표현과 유사한 관용적 문장일뿐, 여성 비하를 목적으로 한 발언이 아니었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입장을 전달했다. 2019년에 김용민씨가 진행하는 유튜브 <김용민TV>에도 출연해 박 전 대통령의 성적 문제 등을 언급하며 "박정희라고 하는 사람은 그 사람도 역시 마찬가지로 일제강점기에 정신대, 종군 위안부를 상대로 섹스를 했었을 테고"라고 말해 논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