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10.9℃
  • 맑음강릉 12.5℃
  • 맑음서울 14.2℃
  • 맑음대전 12.5℃
  • 맑음대구 12.2℃
  • 구름조금울산 13.1℃
  • 맑음광주 15.0℃
  • 구름많음부산 16.4℃
  • 맑음고창 11.1℃
  • 흐림제주 17.8℃
  • 구름많음강화 11.1℃
  • 맑음보은 9.2℃
  • 맑음금산 10.0℃
  • 구름많음강진군 13.0℃
  • 맑음경주시 10.4℃
  • 구름많음거제 14.8℃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정조의 꿈과 이상을 이어가는 수원 역사의 정수 - 수원화성박물관 – 2

정조의 수원화성 신도시 건설에 담긴 애민사상과 개혁정신 간직
화성축성실, 화성문화실, 기획전시, 학술/발간사업, 어린이체험실

한민규 기자 |

수원화성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수원화성박물관>은 정조의 수원화성 신도시 건설에 담긴 애민사상과 개혁정신을 간직하고 있다.

수원화성박물관에는 수원화성 축성과 신도시 발전과정을 볼 수 있는 <화성축성실>과 1795년 을묘년 수원행차와 정조의 충신 채제공, 수원화성에 주둔했던 장용영과 방어체계의 우수성을 소개하는 <화성문화실>이 상설전시 되어 있다. 그리고 기획전시실에서는 화성과 정조시대 등 조선시대 관련한 전시가 꾸준히 기획되고 있다. 또한 야외전시로 박물관 밖에 거중기와 녹로 등 수원화성 축성에 사용된 기기들을 실물 크기로 전시하고 있다.

 

<화성축성실>

화성축성실은 수원화성 축성과 신도시를 건설한 정조와 선왕인 영조, 생부인 사도세자 관련 유물을 소개하고, 수원화성 축성 과정과 방법, 물자의 조달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공간이다.

 

영조가 사도세자에게 애정어린 글을 보낸 문집도 있어 감회가 새롭다. 그리고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느낄 수 있는 영우원 표석탁본도 눈길을 끈다. 탁본의 상태가 너무나 깨끗해 레이져로 조각한 것처럼 깔끔하다. 정조가 아버지의 표석 하나도 최고로 만든 정성이 지금까지 전해진다.

 

호학군주로 유명한 정조의 100책에 이르는 그림과 글을 모아놓은 <홍재전서>가 진본으로 전시되어 있어 왕으로서의 뛰어난 역량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사도세자 관련 유물을 통하여 왕세자로서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조의 추숭사업을 통해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애틋함을 이해하게 된다.

 

정조가 생각하는 신도시 수원은 축만제, 만년제와 같은 수리시설과 대단위 국영농장인 둔전을 경영하는 생산기반 시설을 갖추고 동시에 시전을 마련하여 상업을 진작시키고자 하는 도시였다. 지금으로 치면 서민경제를 가장 우선시한 신도시 건설이었다. 이것이 정조의 애민이었다. 이를 위하여 1793년 수원부를 유수부로 승격시켰으며, 1794년부터 화성 축성을 시작하여 1796년 완공했다. 화성 축성과정에서 1794년 전국적인 흉년이 발생하여 민생이 피폐해 졌다. 신하들은 그래도 축성을 진행해야한다고 주장했으나 정조는 축성은 언제든지 할 수 있고 10년까지 끌 수도 있으나 백성들은 잠시라도 굶주리게 할 수 없다며 공사를 중지시켰다. 이때 화성축성을 중지하라고 내린 <유화성성역동공제신윤음(諭華城城役董工諸臣綸音)>에서 백성들에 대한 정조의 사랑을 엿볼 수 있다.

 

화성 축성과정과 이에 관련한 공사종합보고서인 『화성성역의궤』 등을 통해 수원화성의 실제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화성축성실에는 영조-사도세자-정조와 관련한 영조어필, 정조의 시문집 홍재전서 등의 전시와 수원에 입성하는 말 탄 정조의 모습이 실제 크기 디오라마*로 전시되어 있으며, 사도세자 추숭사업과 현륭원 조성 및 용주사 창건 관련한 사도세자의 명령서, 동궁 당시의 글씨(영인본), 현륭원과 용주사 관련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그리고 수원부 읍치 이전과 수원화성 축성 관련하여 수원출신 무신 김후(축성 당시 실무 담당) 초상화, 화성성역의궤 영인본 전시, 수원화성 축성 과정에 관한 디오라마, 화성행궁 디오라마, 유네스코 세계유산 외국의 성곽(일본, 중국, 유럽의 성곽) 디오라마, 축성 재료 디오라마, 축성도구 재현품, 수원화성 축성과정 또한 영상으로 전시되고 있다.

 

그리고 정조의 이상을 실현하는 신도시 수원 건설을 주제로 정조시대 경제발전을 상징하는 시전, 농업개혁의 상징 만석거, 수원화성 축성을 축하하는 낙성연 디오라마, 수원화성 축성 각자성석 탁본, 팔달문 부재를 만나볼 수 있다.

 

 

 

<화성문화실>

화성문화실에는 1795년 정조가 수원화성에서 거행한 어머니 혜경궁홍씨의 회갑연과 정조때의 명신 채제공, 그리고 장용영과 방어체제 관련 전시를 감상할 수 있다.

 

정조는 재위기간 중에 13번이나 현륭원 참배를 위하여 행차하였으며, 그중에서 1795년 을묘원행에는 8일간 수원화성에 행차하여 다양한 궁중연회와 행사를 마련했다. 이때 정조는 현륭원 참배와 함께 어머니 혜경궁홍씨의 회갑잔치를 화성행궁 봉수당에서 개최하였고, 낙남헌에서 양로연을 베풀거나 과거시험을 보는 등 다양한 행사를 연이어 진행했다. 이를 통해 정조의 부모에 대한 효와 왕권의 권위회복 그리고 애민정신을 살필 수 있다.

 

정조가 총애한 채제공은 수원화성 축성을 지휘하고 수원의 초대 유수를 역임하는 등 수원화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인물이다. 어진화사 이명기가 그린 채제공 초상화를 비롯하여 채제공 관련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왕권 강화를 위해 창설된 국왕의 친위부대 장용영 군사들의 무기와 무예, 서북공심돈에서의 가상전투 모형을 통해 수도 남쪽을 방어하는 수원화성의 위상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무예24기 영상과 군사훈련 영상을 통해 무예도보통지와 당대의 군사훈련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화성문화실에서는 정조의 을묘년 원행과 관련하여 을묘년 8일간의 수원행차에 대한 패널, 혜경궁홍씨의 회갑연 디오라마, 화성행행도 영인본이 전시되어 있으며, 번암 채제공의 초상화(시복본, 보물)을 비롯하여 그의 후손이 기증한 유물 60여 점과 영인본, 채제공 관련 공문서 등을 볼 수 있다.

장용영은 무예24기 영상, 정조가 하사한 고풍, 장용영 군사들이 쓰던 무기와 불랑기 등 디오라마, 조선시대 보검을 관람할 수 있다.

 

수원화성의 방어 체제에 대한 자료는 수원화성 군사훈련 영상이 전시되고 있고, 서북공심돈 디오라마는 전투시 방어체계를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기획전시>

수원화성박물관에서는 매년 기획전시를 개최하는데, 세계유산 수원화성, 조선후기의 부흥을 이끈 영조와 정조, 그리고 혜경궁홍씨와 사도세자를 비롯한 인물 등을 주제로 한 기획전시와 전통건축, 근현대 사진, 정조시대 수원과 관련된 역사 등을 다룬 기획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2009년 <정조, 화성을 만나다>를 시작으로 2010년 <화성의 웅혼, 장용영>, 2012년 <사도세자 서거 250주기 추모 특별기획전>, 2015년 <정조, 8일간의 수원행차>, 2021년 세계유산축전 기념 테마전 <위대한 기록과 수원화성> 등 매년 지속적으로 화성과 정조, 그리고 조선시대와 관련한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그리고 올해는 국가유산청이 주최하고 수원화성박물관과 국가유산진흥원이 함께 주관하는 국가유산 디지털 전시 <조선의 희비애락, 한눈에 보다>를 기획전시 하고 있다.

 

 

<학술/발간사업>

수원화성박물관은 조선후기 정조시대를 중심으로한 인물들과 수원화성 건설에 공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연구와 시대상을 학술적으로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연구의 성과물은 학술총서와 역사자료총서로 발간되고 있다.

 

대표적인 학술총서로는 2011년 나온 <정조의 비밀어찰, 정조가 그의 시대를 말하다>를 시작으로 2012년 <조선후기 군사개혁과 장용영>, 201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20주년 기념 <세계유산 수원화성> 등이 있다.

 

또한 역사자료총서로는 2015년 <원행을묘정리의궤>를 비롯하여 2016년 <정조대왕의 수원행차도>, 2021년 <사도세자의 부마, 홍은위 정재화 가문의 한글편지> 등이 지속적으로 발간되고 있다.

 

그리고 수원화성박물관은 어린이체험실을 상설 운영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역사문화체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디오라마* : 풍경이나 그림을 배경으로 두고 축소 모형을 설치해 역사적 사건이나 자연 풍경, 도시 경관 등 특정한 장면을 만들거나 배치하는 것